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우울증 초기증상 및 자가진단테스트 극복방법 정리

by 코칭메신저 2023. 7. 2.
반응형

오늘은 마음의 감기 우울증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현대인들에게 많이 찾아오는 우울증은 경미한 수준도 있겠지만 심한 경우 심리 상담치료가 필요하거나 약물치료가 필요한 경우까지 있습니다.

실제로 제가 심한 우울증으로 위에서 언급한 심리치료 및 약을 복용하기까지 했었기에 그 경험으로 더 잘 설명드릴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우울증
@unsplash

 

 

우울증 초기증상

우울증은 개인마다 다르게 나타날 수 있지만, 일반적인 초기 증상은 지속적인 슬픔, 활동에 대한 흥미 상실, 무기력감, 공허감을 포함합니다. 다른 징후로는 식욕과 체중의 변화, 수면 장애, 피로, 집중하기 어려움, 죄책감이나 가치 없는 감정, 과민성, 즐거움 상실 등이 포함될 수 있습 니다. 두통이나 복통과 같은 신체적 증상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저의 예를 들자면 밤에 쪽잠을 자기 일쑤거나 체중이 급격히 감소되기도 하고 무엇보다 일에 집중하기가 힘들었습니다.  표정의 변화가 없어질 뿐만 아니라 매일 아침 일어나는 것조차 의욕이 생기지 않았습니다. 무기력감이 제일 힘들었던 것 같은데요 아무것도 하기 싫었습니다. 반대로 신경은 굉장히 예민해져 있는 상태가 됩니다.  무기력감은 집중력 감퇴와 인지능력 저하까지 가져옵니다.  저의 경우 제가 혹시 성인 ADHD가 아닌가 생각이 들어 검사를 해보아야겠다는 생각까지 했었습니다. 이렇다 보니 업무성과가 떨어지게 되고 자존감까지 하락하게 되어 점점 더 안 좋은 생각을 하게 되는 무한의 굴레에 빠지게 됩니다. 이런 우울감은 빨리 인지하여 해결하는 방법이 제일 좋은데요 안타깝게도 많은 사람들이 모르는 경우가 더 많다고 보입니다.아마 이 글을 찾아오신 분들은 자신의 감정이 예전같지 않고 달라짐을 느껴 검색을 하고 찾아오셨겠지요?그렇다면 아래 우울증 테스트를 통해서 한번 알아보시길 바랍니다.

자가진단테스트 항목

1. 일 또는 여가활동을 하는데 흥미나 즐거움을 느끼지 못한다.

2. 기분이 가라앉거나, 우울하거나, 희망이 없다고 느껴진다.

3. 잠을 자는데 지속적인 어려움을 느끼거나 반대로 많이 잔다

4 피곤하다고 느끼거나 기운이 없다.

5. 입맛이 없거나 반대로 과식을 한다.

6. 신문을 읽거나 tv를 보는 것과 같은 일에 집중하기가 어렵다.

7. 자신을 부정적으로 또는 실패자라고 느낀다.

8. 다른 사람들이 주목할 정도로 너무 느리게 말하거나 움직임 또는 평소보다 많이 움직여 안절부절못하거나 들떠있다.

9. 자신이 죽는 게 더 낫다고 생각하거나 어떤 식으로든 자신을 해칠 것이라고 생각한다.

[지난 2주 동안 위 문제들로 인해서 방해받은 정도로 점수를 체크. 전혀 방해받지 않는다0/ 며칠 동안 받았다1점/일주일 이상 2점/거의 매일3점]

테스트 점수가 중간 정도이면 어느 정도 스스로 회복이 가능하다고 보나 15점 이상인 경우부터는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극복방법

경미한 수준인 경우- 하루에 30분씩 햇빛을 쐬고 걷습니다. 따사로운 햇볕을 받으며 있다 보면 우리의 뇌에서는 행복 호르몬인 세로토닌이 분비가 되어 활동하게 됩니다. 마음이 편안해지면서 부정적인 생각도 잠시 멈추게 되는 것입니다. 주위 지인에게도 자신의 상태를 오픈하고 최대한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저 또한 주위에 저의 상태를 오픈하였고 그로 인하여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숨으려고만 하지마세요. 오픈을 해야 누구든 당신을 도울 수가 있습니다.

심각한 수준인 경우- 정신의학과 전문의 또는 심리 상담치료사와 상담할 것을 권합니다. 상황에 따라 약을 처방받을 수도 있는데 약은 본인에게 맞는 약을 처방받아 3개월이상~1년정도는 꾸준히 먹어주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정신의학과 약이라고 걱정할 것은 없습니다. 본인에게 맞는 약으로 기운을 차리게 되면 그전에는 사라졌던 무엇이든 할 수 있는 힘이 점점 생기게 됩니다. 그렇게 힘이 생기다 보면 점점 긍정적인 생각이 드실 겁니다. 약의 효과도 기대해도 좋겠지만 평소 스트레스 관리에 신경 쓰고 식단 관리를 잘하며 운동하는 습관을 들이며 예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할 것 같습니다.

 

반응형